2025년 월별 휴일(공휴일, 주말 포함)을 정리해 드립니다. 연휴 계획에 활용하기 좋은 일정이니 참고하세요. 새해를 맞이하는 신정부터 설날, 삼일절, 어린이날, 광복절, 추석, 성탄절까지 다양한 공휴일과 더불어, 자연의 변화를 알리는 24 절기의 날들을 포함했습니다.
2025년 월별 휴일
- 휴일이 가장 많은 달: 1월, 5월, 10월
- 연차 활용 추천:
- 1월 27일(월) 추가하면 설 연휴 6일간 휴가 가능
- 10월 3일~9일에 연차 2일 사용 시 최장 9일 휴가 가능
1월
1월 1일 (수): 신정
1월 4일 (토), 1월 5일 (일) : 주말
1월 11일 (토), 1월 12일 (일) : 주말
1월 18일 (토), 1월 19일 (일) : 주말
1월 25일 (토): 주말
1월 26일 (일): 주말
1월 28일 (화): 설날 연휴 시작
1월 29일 (수): 설날
1월 30일 (목): 설날 연휴 종료
2월
2월 1일 (토), 2월 2일 (일): 주말
2월 8일 (토), 2월 9일 (일): 주말
2월 15일 (토), 2월 16일 (일): 주말
2월 22일 (토), 2월 23일 (일): 주말
주말만 포함된 월
3월
3월 1일 (토): 삼일절
3월 2일 (일): 주말
3월 3일 (월): 삼일절 대체공휴일
3월 8일 (토), 3월 9일 (일): 주말
3월 15일 (토), 3월 16일 (일): 주말
3월 22일 (토), 3월 23일 (일): 주말
3월 29일 (토), 3월 30일 (일): 주말
4월
4월 5일 (토), 4월 6일 (일)
4월 12일 (토), 4월 13일 (일)
4월 19일 (토), 4월 20일 (일)
4월 26일 (토), 4월 27일 (일)
주말만 포함된 월
5월
5월 3일 (토), 5월 4일 (일): 주말
5월 5일 (월): 어린이날 및 부처님오신날 (겹침)
5월 6일 (화): 어린이날 대체공휴일
5월 10일 (토), 5월 11일 (일): 주말
5월 17일 (토), 5월 18일 (일): 주말
5월 24일 (토), 5월 25일 (일): 주말
5월 31일 (토) 주말
6월
6월 1일 (일): 주말
6월 6일 (금): 현충일
6월 7일 (토), 6월 8일 (일): 주말
6월 14일 (토), 5월 15일 (일): 주말
6월 21일 (토), 5월 22일 (일): 주말
6월 28일 (토), 5월 29일 (일): 주말
7월
주말만 존재:
7월 5일 (토), 7월 6일 (일)
7월 12일 (토), 7월 13일 (일)
7월 19일 (토), 7월 20일 (일)
7월 26일 (토), 7월 27일 (일)
8월
8월 2일 (토), 8월 3일 (일): 주말
8월 9일 (토), 8월 10일 (일): 주말
8월 15일 (금): 광복절
8월 16일 (토), 8월 17일 (일): 주말
8월 23일 (토), 8월 24일 (일): 주말
8월 30일 (토), 8월 31일 (일): 주말
9월
주말만 존재:
9월 6일 (토), 9월 7일 (일)
9월 13일 (토), 9월 14일 (일)
9월 20일 (토), 9월 21일 (일)
9월 27일 (토), 9월 28일 (일)
10월
10월 3일 (금): 개천절
10월 4일 (토): 주말
10월 5일 (일): 추석 연휴 시작
10월 6일 (월): 추석
10월 7일 (화): 추석 연휴 종료
10월 8일 (수): 추석 대체공휴일
10월 9일 (목): 한글날
(10월 10일 (금) )
10월 11일 (토), 10월 12일 (일)
* 10일 휴일 가능
10월 18일 (토), 10월 19일 (일)
10월 25일 (토), 10월 26일 (일)
11월
주말만 존재:
11월 1일 (토), 11월 2일 (일)
11월 8일 (토), 11월 9일 (일)
11월 15일 (토), 11월 16일 (일)
11월 22일 (토), 11월 23일 (일)
11월 29일 (토), 11월 30일 (일)
12월
12월 6일 (토), 12월 7일 (일): 주말
12월 13일 (토), 12월 14일 (일): 주말
12월 20일 (토), 12월 21일 (일): 주말
12월 25일 (목): 성탄절
12월 27일 (토), 12월 28일 (일): 주말
휴일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즐거운 한 해를 보내세요!
2025년 의미 있는 날과 그 의미
1월
- 1월 1일 (수) 신정: 새해를 맞이하는 날로, 양력 기준으로 새해의 시작을 기념합니다. 가족과 함께 새해 소망을 나누고, 다양한 전통과 현대적 축하 행사가 열립니다.
- 1월 28~30일 설날 연휴: 음력 새해로, 조상에게 차례를 지내고 가족과 함께 윷놀이, 덕담 등의 전통을 나누며 새해를 시작합니다.
2월
- 2월 4일 입춘: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이 시작된다는 뜻을 가집니다. 예로부터 농사를 준비하는 시기로 여겨졌습니다.
- 2월 9일 정월 대보름: 음력 1월 15일로, 둥근 보름달을 보며 소원을 빌고 부럼을 깨물어 액운을 막는 풍습이 있습니다.
3월
- 3월 1일 삼일절: 1919년 3월 1일, 일본 식민 통치에 항거하여 독립운동이 시작된 날을 기념합니다. 태극기를 게양하고 애국선열들을 기립니다.
- 3월 3일 삼일절 대체공휴일: 삼일절이 주말과 겹쳐 지정된 대체휴일입니다.
- 3월 5일 경칩: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난다는 절기로, 봄의 생동감을 상징합니다.
- 3월 20일 춘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로, 자연과 조화로운 삶을 중시하던 시기의 절기입니다.
4월
- 4월 5일 식목일: 나무 심기를 장려하기 위해 제정된 날로, 자연 보호와 산림 가꾸기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 4월 8일 청명: 하늘이 맑아지고 본격적인 농사철이 시작됨을 알리는 절기입니다.
- 4월 20일 곡우: 봄비가 내려 곡식이 잘 자라는 시기로,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5월
- 5월 5일 어린이날 및 부처님오신날: 어린이날은 어린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행복한 삶을 기원하기 위해 제정되었습니다. 부처님 오신 날은 부처님의 탄생을 기리는 불교의 큰 명절입니다.
- 5월 6일 어린이날 대체공휴일: 어린이날과 부처님오신날이 겹쳐 지정된 대체공휴일입니다.
- 5월 8일 어버이날: 부모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날로, 효(孝)의 가치를 기리는 기념일입니다.
- 5월 15일 스승의 날: 스승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하는 날입니다.
6월
- 6월 6일 현충일: 국가를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과 호국영령을 기리기 위한 날로, 묵념과 추모 행사가 열립니다.
- 6월 21일 하지: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로, 여름의 절정을 상징합니다.
7월
- 7월 7일 소서: 더위가 시작되는 절기로, 본격적인 여름 농사철을 준비하는 시기입니다.
- 7월 22일 대서: 1년 중 가장 더운 시기로, 농작물의 생장이 왕성한 시기입니다.
8월
- 8월 15일 광복절: 1945년 일본의 식민 통치로부터 해방된 날을 기념하며, 대한민국의 독립과 자유를 기립니다.
- 8월 23일 처서: 더위가 한풀 꺾이고 선선한 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절기입니다.
9월
- 9월 7일 백로: 아침 이슬이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가을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절기입니다.
- 9월 23일 추분: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날로, 추수와 수확의 시기를 준비합니다.
10월
- 10월 3일 개천절: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한 날로, 우리 민족의 기원을 기리는 국경일입니다.
- 10월 5~7일 추석 연휴: 한가위라고도 불리며, 조상께 감사의 제사를 올리고 가족과 함께하는 명절입니다.
- 10월 8일 추석 대체공휴일: 추석 첫날이 주말과 겹쳐 지정된 대체휴일입니다.
- 10월 9일 한글날: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의 우수성을 기리고 보급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11월
- 11월 7일 입동: 겨울이 시작되는 절기로, 김장 준비 등 겨울맞이를 시작합니다.
- 11월 22일 소설: 첫눈이 내리기 시작하는 시기로, 본격적인 추위가 오기 전의 준비 기간입니다.
12월
- 12월 7일 대설: 큰 눈이 내릴 시기로, 본격적인 겨울철 농경 준비를 상징합니다.
- 12월 22일 동지: 1년 중 밤이 가장 긴 날로, 팥죽을 먹으며 악귀를 물리치던 풍습이 있습니다.
- 12월 25일 성탄절: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기리는 기독교의 주요 명절입니다.
'부동산 경매 >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색 신호등, ‘가야 할까? 멈춰야 할까?’ 이제는 무조건 멈춰야 합니다! (0) | 2025.02.13 |
---|---|
커피 대신 건강을 담다! 독감 예방 한방 약초차 추천 (0) | 2025.01.15 |
스키 장비 렌탈과 구매 장기적으로 더 경제적인 선택은? (0) | 2024.12.25 |
스키 초보부터 전문가까지 알아야 할 사고 예방과 조치 (0) | 2024.12.23 |
겨울철 집 안 실내 온도 이렇게 유지하면 완벽하다 (0) | 2024.12.23 |